• 2023. 6. 22.

    by. 미라클포티

    반응형

    2023 장마 시기를 다음 주 제주도를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된다고 기상청에서 알렸습니다. 2023 장마 기간이 역대급으로 길거라고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와 장마 기간 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이 있는지 미리미리 준비해 보기 위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 장마 시작과 장마 기간
    2023 장마시기
    ☆ 목 차 ☆

    1. 2023 장마 시기 및 장마 기간

    2. 2023 엘리뇨 
    3. 장마기간 준비, 장마 대비
    4. 마치고

    1. 2023 장마 시기 및 장마 기간

    2023 장마 시작이 다음 주부터 시작을 알렸습니다. 6월 말부터 시작하여 7월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마는 보통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 중부로 이어지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마는 평균적으로 6월 20일부터 시작되며 남부는 6.23.~24. / 중부 6.25.~26. 시작했는데요. 
    2023 장마 시기는 평균적으로 3~4일 늦은 장마가 시작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기상청 보고에 따르면 2020년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가장 길었고, 2021년 강수일수가 가장 짧았던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보통 강수 일수는 한 달 정도로 보는데 작년 18일, 재작년 9일로 짧은 강수 일수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강수량 강수일수
    20년 간 전국 강수량, 강수일수


    2. 2023 엘리뇨

    2023 장마 기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을 하는 원인 중에 하나가 엘리뇨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평양의 해수면의 온도가 3개월 이동 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WHO(세계기상기구)는 엘리뇨가 6-8월 중 발생할 확률이 70%, 7-9월 중 발생할 확률이 80% 예상하고 있으며,
    엘리뇨 현상이 발생하면서 국지성 폭우와 초강력 태풍이 집중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장마 기간 중 강수량은 적으면 100mm에서 많으면 700mm 이상 비가 내릴 수 있으며, 국지성 폭우로 인해 침수 피해를 받을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2022년 서울 시간당 141mm 폭우가 쏟아지기도 했음)


    3. 장마 기간 준비, 장마 대비

    장마 기간이 오기 전에 미리미리 점검하고 준비해야 할 사항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마 대비 철저!!

    1) 자동차 점검하기
    - 빗길 운행은 사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운전 시에서 20% 감속 운행을 해야 합니다. 
    - 와이퍼 교체, 전조등 점검, 안개등 점검하기
    -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기 (여름 38 / 겨울 40)
    - 타이어 상태 점검: 마모 상태 확인
    - 브레이크 점검하기

    2) 전기, 가스 점검하기
    - 집중 호우로 인한 전기, 가스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노후된 전선, 손상된 전선 교체 및 보수 작업
    -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한 누전 차단기 점검
    - 가스 배관 등 연결 부위 확인, 가스 누출 예방하기

    3) 하수구, 배수구 점검하기
    - 반지하층 세대나 지대가 낮은 경우 역류 피해를 막기 위한 침수 방지 시설 설치
    - 배수구 및 주변 점검
    - 동네 주변, 식수대, 화장실 막혀있지 않는 지 점검하기

    4) 장마 대비 개인 장비 정비하기
    - 휴대용 우산 / 튼튼한 장우산 준비
    - 레인부츠, 미끄럼 방지가 되는 신발 준비
    - 레인커버, 레인코트 준비하기
    - 제습기 및 건조기 상시적으로 가동하기


    마치고

    2023 장마시기가 가까워졌습니다. 장마 기간에 미리 점검해 보고 준비할 물품 등을 구매해 두셔서 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열대성 기후로 변하면서 동남아지역 스콜처럼 갑자기 집중적으로 내리는 호우도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장마 기간에 갑자기 내리는 비를 조심하시고, 대비를 잘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