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6. 5.

    by. 미라클포티

    반응형

    계약서나 서류에 한글 도장삽입하거나 한글 사인 넣기를 하여 결재를 하는 경우가 많아 졌습니다. 물론 원본 파일은 출력하여 보관하는 게 맞지만요. 직접 만나기 어려운 경우나 거리가 있는 경우 우편물로 보내서 도장이나 사인을 받는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한글 파일 상태에서 도장 삽입 및 한글 사인 넣기를 통해서 마무리하는 것이 코로나 이후 많아졌습니다.

    한글 도장삽입과 한글 사인 넣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고 쉽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다만 주의하실 건 인감 도장이나 중요한 문서일 경우에는 한글 파일이 아닌 출력물에 직접 찍거나 사인하는 것을 강력 추천드립니다.!!

    한글 도장삽입 및 한글 사인 넣기 방법


    목 차 ☆

    1. 한글 도장삽입 방법

    2. 한글 사인 넣기 방법

    3. 미라클포티 꿀팁


    1. 한글 도장삽입 방법

    한글 도장삽입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도장이 들어갈 계약서나 서류 파일을 열어 봅니다. 
    (일단 여러분이 도장 이미지 파일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말씀 드릴게요.)

    1) 그림 불러오기 단축키: Ctrl + N, I 
    2) 도장 이미지 파일을 선택

    한글 도장삽입 및
    한글 도장삽입 단축키

    3) 넣기를 클릭하면 내가 원하는 사이즈로 이미지 위치와 크기를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검정색 선이 나타나면 크기와 위치를 지정해 줍니다.)

    이미지 삽입 크기 조절

    4) 기본 설정은 글자와 그림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설정을 바꿔주어야 합니다. 
    - 이미지를 두 번 클릭 -> 개체 속성이 열립니다. 
    - 위치에서 가장 오른쪽 '나비가 줄무늬 뒤로 가 있는 모습' 클릭하면
    - 이미지가 글자 가장 뒤편에 배치가 됩니다. (이미지는 내가 원하는 위치에 옮겨 주면 됩니다.)

    이미지 개체 속성

    5) 다른 방법은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우클릭 -> 본문과의 배치 ->글 뒤로
    이 순서대로 지정해 주시면 도장 이미지가 글자 뒤로 배치됩니다. 

    본문과의 위치

    한글 도장삽입 방법 - 도장 이미지를 불러온 후에 글자 뒤로 갈 수 있도록 속성을 바꿔주면 된다는 것입니다. 


    2. 한글 사인 넣기 방법

    한글 사인 넣기 방법도 한글 도장삽입 방법과 똑같습니다. 사인 = 도장 이미지 파일이라는 건 똑같습니다. 

    1) 사인 이미지 불러오기 단축키: Ctrl + N, I
    2) 사인 넣기 (크기 및 위치 지정해 주기)
    3) 사인 이미지 파일 두 번 클릭 or 우클릭 -> 배치 방법(글자 맨뒤로, 글자 뒤로) 설정 변경
    4) 사인 최종 위치 조정

    한글 도장삽입 및 한글 사인 넣기 방법

    사인이든 도장이든 파일을 불러와서 글자 뒤로 넣어주면 실제 사인하는 것처럼 계약서든 문서를 만들 수 있으니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배워두면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3. 미라클포티 꿀팁

    미라클포티 꿀팁 알려 드릴게요~ 위에서도 반복해서 강조해 드렸는데요! 우리의 목표는 마우스를 잡지 않는 것이다!!

    1. 이미지 불러오기 : Ctrl + N, I 

    2. 이미지를 두 번만 연속으로 클릭하면 [마우스 우클릭 - 개처 속성]이런 과정 없이 바로 [개체 속성]으로 갈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그리고 흰색 배경을 날린 파일을 만들고 싶다! 요건 제가 자주 쓰는 사이트인데요.

    https://www.remove.bg/ko

     

    이미지 배경 제거, 투명 배경 만들기 – remove.bg

    사진이나 이미지 배경을 한 번 클릭으로 5초만에 무료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배경 투명하게 만드는 법. 누끼 따기 프로그램.

    www.remove.bg

    파일만 드래그해서 올리면 흰색 부분은 자연스럽게 사라진 PNG파일을 순식간에 만들 수 있는 무료 사이트니깐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